방문요양 요양보호사 태그 찍히지 않는 경우를 12가지로 정리한 동영상입니다.
1. 요양보호사님 핸드폰 기본설정이 바뀌지 않았는 지
다시 한번 더 확인해 보세요.
1) WiFi는 끄고(가장 많은 분이 실수합니다)
2) NFC는 기본모드로 켜고(카드모드는 안됨)
3) 모바일 데이터 통신은 켜고
4) 위치는 켜고
→ 상기와 같이 설정을 완료해서 찍어보시고요.
안되면 핸드폰 전원을 껏다가 다시 켜서 해보세요.
2. 오늘 근무하는 일정이 공단 전산에 사전 입력되어 있는지 확인.
장기요양앱 → 로그인 → “스마트폰을 태그에 접촉하세요” 화면에서
태그를 접촉하지 마시고요. 화면 왼쪽 상단에 “메뉴” 버튼을 누름
→ 화면이 바뀌면 맨 위에 있는 “서비스 계획 보기”를 누름
→ 당일 근무 일정이 나오면 일정이 사전에 등록된 것이고,
아무런 내용이 없으면 오늘 근무일정이 사전에 등록이 되지 않은 것임
→ 근무 일정이 공단전산에 사전 등록되지 않으면 태그가 찍히지 않음
→ 이런 경우에는 센터에 전화하여 근무일정 등록 요청하세요
※ 발생 원인 : 1. 요양보호사가 변경된 일정을 사전에 이야기하지 않았거나,
2. 사회복지사가 입력하는 것을 잊어 버렸거나
3. 공단 전산에 문제가 있어서 태그가 안 찍히는 경우
o 가끔씩 공단 전산 문제로 태그가 안 찍히기도 함
→ 이 경우는 모든 요양보호사 태그가 찍히지 않음
4. 일시적인 인터넷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
o 장기요양앱은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으로
통신사의 문제로 인터넷 장애가 있는 경우도
태그가 안 찍힘
5. 요양보호사님 핸드폰 NFC 칩이 고장나거나 전파가 약해서
태그가 찍히지 않는 경우
o 요양 태그는 핸드폰 뒷면에 있는 NFC 칩으로 접촉하여 통신을 하는
것이므로 NFC 칩에 문제가 있어도 잘 안 찍힘
→ 이런 경우는 다른 사람(사회복지사)는 태그가 문제없이 잘 찍히는 데
요양보호사님 핸드폰만 안 찍히거나
또는 어떤 때는 찍히고 어떤 때는 안 찍히는 경우라고 볼 수 있음
→ 해결 방안 : 가까운 삼성전자 A/S센터에 방문해서 NFC 성능 체크를 하여
달라고 하면 NFC 의 성능을 확인하여 줌
6. 태그를 잘못된 장소에 부착하는 경우
o 붙이면 안되는 장소 : 집 바깥, 유리면, 금속 부분
(철문, 냉장고, 화기근처, 물기 많은 곳, 난청구역)
→ 전파 간섭이 발생하여 태그가 잘 안 찍힘
o 붙일 수 있는 장소 : 움직일 수 없는 장소(벽면 등)
(침대, 가구, 냉장고 등 움직일 수 있는 장소는
부착하면 안 됨)
7. "서버연결이 원활하지 않습니다', "유효하지 않은 URL입니다"라고 뜨며
스마트장기요양앱이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
o IP와 관련된 스마트장기요양앱 접속 오류입니다.
다음과 같이 따라해 보세요
① 스마트장기요양앱을 종료합니다.
② 핸드폰의 비행기모드를 켰다가 다시 꺼주세요( 통신사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할당 받음)
③ 스마트장기요양앱을 다시 켜서 시작해보세요.
※ 상기와 같이 한번 했는데도 안되면, 포기하지 마시고 계속 5번 정도 하시면
접속이 됩니다.
8. 스마트장기요양앱 비밀번호를 잃어 버렸습니다.
o 당황하지 마시고요.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스마트장기요양앱을 켜면 첫번째 로그인 하는 화면의 "로그인" 이라는 글씨 밑에
조그만 글씨로 " 비밀번호 재설정"이 있습니다.
여기를 클릭해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하신후 사용하시면 됩니다.
9. 요양보호사님이 아직 공단 전산에 등록이
완료되지 않은 경우
o 신규 입사자인 경우 공단전산에 근무 일정은 입력되어 있어도,
센터에서 요양보호사의 핸드폰 번호를 공단전산에 입력하지 않으면
태그가 찍히지 않음
10. 어르신댁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
o 태그도 전자칩으로 되어 있으므로 고장 날수 있음
o 다른 문제는 하나도 없는데, 요양보호사님도 안 찍히고,
사회복지사님도 안 찍히면 태그 자체에 문제 있다고
볼 수 있음
o 해결 방안
방문요양센터에서 공단에 재발급 요청하여
신규 발급된 태그를 부착 후 사용하면 됨
11. 핸드폰 뒷면 카바가 두꺼운 경우
o 핸드폰 카바가 두꺼운 경우 NFC 인식이
잘 안되는 경우가 많음
→ 이런 경우 핸드폰 카바를 벗기고 태그를 찍어야함
12. 핸드폰 뒷면에 NFC 칩이 있어서
핸드폰 뒷면을 태그에 대야 하는 데,
무의식적으로 핸드폰 앞면을 태그에 접촉하는 경우
[ 태그 안 찍힐 때 해결 순서 ]
1. 핸드폰 기본 설정을 재확인한다.
(와이파이 끄고, NFC/모바일데이터/위치 켜고)
2. 요양앱 메뉴에서 오늘 근무 일정 있는 지 확인
3. 핸드폰 전원을 껏다가 다시 켜본다
4. 에러코드가 핸드폰에 뜨면 적어 두었다가
센터에 이야기하여 원인을 확인후 해결한다.
지금까지 말씀드린 12가지 내용을 참조하여
태그가 찍히지 않을 때 조치하신다면
대부분 해결하실 수 있을 거 같습니다.
위 게시글 내용이 좋으시면 아래에 있는 좋아요를 눌러 주세요
방문요양 요양보호사 태그 찍히지 않는 경우를 12가지로 정리한 동영상입니다.
1. 요양보호사님 핸드폰 기본설정이 바뀌지 않았는 지
다시 한번 더 확인해 보세요.
1) WiFi는 끄고(가장 많은 분이 실수합니다)
2) NFC는 기본모드로 켜고(카드모드는 안됨)
3) 모바일 데이터 통신은 켜고
4) 위치는 켜고
→ 상기와 같이 설정을 완료해서 찍어보시고요.
안되면 핸드폰 전원을 껏다가 다시 켜서 해보세요.
2. 오늘 근무하는 일정이 공단 전산에 사전 입력되어 있는지 확인.
장기요양앱 → 로그인 → “스마트폰을 태그에 접촉하세요” 화면에서
태그를 접촉하지 마시고요. 화면 왼쪽 상단에 “메뉴” 버튼을 누름
→ 화면이 바뀌면 맨 위에 있는 “서비스 계획 보기”를 누름
→ 당일 근무 일정이 나오면 일정이 사전에 등록된 것이고,
아무런 내용이 없으면 오늘 근무일정이 사전에 등록이 되지 않은 것임
→ 근무 일정이 공단전산에 사전 등록되지 않으면 태그가 찍히지 않음
→ 이런 경우에는 센터에 전화하여 근무일정 등록 요청하세요
※ 발생 원인 : 1. 요양보호사가 변경된 일정을 사전에 이야기하지 않았거나,
2. 사회복지사가 입력하는 것을 잊어 버렸거나
3. 공단 전산에 문제가 있어서 태그가 안 찍히는 경우
o 가끔씩 공단 전산 문제로 태그가 안 찍히기도 함
→ 이 경우는 모든 요양보호사 태그가 찍히지 않음
4. 일시적인 인터넷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
o 장기요양앱은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으로
통신사의 문제로 인터넷 장애가 있는 경우도
태그가 안 찍힘
5. 요양보호사님 핸드폰 NFC 칩이 고장나거나 전파가 약해서
태그가 찍히지 않는 경우
o 요양 태그는 핸드폰 뒷면에 있는 NFC 칩으로 접촉하여 통신을 하는
것이므로 NFC 칩에 문제가 있어도 잘 안 찍힘
→ 이런 경우는 다른 사람(사회복지사)는 태그가 문제없이 잘 찍히는 데
요양보호사님 핸드폰만 안 찍히거나
또는 어떤 때는 찍히고 어떤 때는 안 찍히는 경우라고 볼 수 있음
→ 해결 방안 : 가까운 삼성전자 A/S센터에 방문해서 NFC 성능 체크를 하여
달라고 하면 NFC 의 성능을 확인하여 줌
6. 태그를 잘못된 장소에 부착하는 경우
o 붙이면 안되는 장소 : 집 바깥, 유리면, 금속 부분
(철문, 냉장고, 화기근처, 물기 많은 곳, 난청구역)
→ 전파 간섭이 발생하여 태그가 잘 안 찍힘
o 붙일 수 있는 장소 : 움직일 수 없는 장소(벽면 등)
(침대, 가구, 냉장고 등 움직일 수 있는 장소는
부착하면 안 됨)
7. "서버연결이 원활하지 않습니다', "유효하지 않은 URL입니다"라고 뜨며
스마트장기요양앱이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
o IP와 관련된 스마트장기요양앱 접속 오류입니다.
다음과 같이 따라해 보세요
① 스마트장기요양앱을 종료합니다.
② 핸드폰의 비행기모드를 켰다가 다시 꺼주세요( 통신사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할당 받음)
③ 스마트장기요양앱을 다시 켜서 시작해보세요.
※ 상기와 같이 한번 했는데도 안되면, 포기하지 마시고 계속 5번 정도 하시면
접속이 됩니다.
8. 스마트장기요양앱 비밀번호를 잃어 버렸습니다.
o 당황하지 마시고요.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스마트장기요양앱을 켜면 첫번째 로그인 하는 화면의 "로그인" 이라는 글씨 밑에
조그만 글씨로 " 비밀번호 재설정"이 있습니다.
여기를 클릭해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하신후 사용하시면 됩니다.
9. 요양보호사님이 아직 공단 전산에 등록이
완료되지 않은 경우
o 신규 입사자인 경우 공단전산에 근무 일정은 입력되어 있어도,
센터에서 요양보호사의 핸드폰 번호를 공단전산에 입력하지 않으면
태그가 찍히지 않음
10. 어르신댁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
o 태그도 전자칩으로 되어 있으므로 고장 날수 있음
o 다른 문제는 하나도 없는데, 요양보호사님도 안 찍히고,
사회복지사님도 안 찍히면 태그 자체에 문제 있다고
볼 수 있음
o 해결 방안
방문요양센터에서 공단에 재발급 요청하여
신규 발급된 태그를 부착 후 사용하면 됨
11. 핸드폰 뒷면 카바가 두꺼운 경우
o 핸드폰 카바가 두꺼운 경우 NFC 인식이
잘 안되는 경우가 많음
→ 이런 경우 핸드폰 카바를 벗기고 태그를 찍어야함
12. 핸드폰 뒷면에 NFC 칩이 있어서
핸드폰 뒷면을 태그에 대야 하는 데,
무의식적으로 핸드폰 앞면을 태그에 접촉하는 경우
[ 태그 안 찍힐 때 해결 순서 ]
1. 핸드폰 기본 설정을 재확인한다.
(와이파이 끄고, NFC/모바일데이터/위치 켜고)
2. 요양앱 메뉴에서 오늘 근무 일정 있는 지 확인
3. 핸드폰 전원을 껏다가 다시 켜본다
4. 에러코드가 핸드폰에 뜨면 적어 두었다가
센터에 이야기하여 원인을 확인후 해결한다.
지금까지 말씀드린 12가지 내용을 참조하여
태그가 찍히지 않을 때 조치하신다면
대부분 해결하실 수 있을 거 같습니다.
위 게시글 내용이 좋으시면 아래에 있는 좋아요를 눌러 주세요